근래에 스스로 정체되어있는 듯한 생각이 많이 들어서, 마음을 다잡고 다시 시작해보자는 마음으로 지내고 있습니다.
그래서 비전공자 입장, 즉 컴퓨터에 모르는 입장에서부터 시작을 해보고 있습니다.
그러면 어떤 것부터 해야할까라고 생각하던 중에
뭐든지 남의 경험을 빨리 배우는 방법은 책이라는 말을 들었습니다
바로 교보문고에 들어가서 IT분야의 스테디셀러를 확인해봤습니다
교보문고 - 스테디셀러(컴퓨터/IT)
예전부터 클린코드에 대해선 알고 있었던 책이였고, 2번째에 "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 지식"이라는 책이 보였습니다.
이 책을 읽어보면 내가 모르고 지내왔거나 제대로 이해를 못한 개념들을 이해 및 제대로 알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 다행히 제가 즐겨찾는 도서관에 대출가능이라서 냉큼 대여를 해서 읽어봤습니다.
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 지식
먼저 저자분은 개발자가 아닙니다. 개발자와 커뮤티케이션의 필요성을 느끼고 스스로 공부를 한 다음 알게 된 내용을 큰 구조를 통해서 쉽게 설명을 해주십니다.
개발자인 저의 입장에서는 정말 쉽게 읽혔던 내용입니다. 어떤 부분 때문에 쉽게 읽혔냐면, 용어 자체가 개발자라면 다 알고 있는 용어들이 나옵니다. 예를 들면 API, JSON, CRUD, 프론트엔드, 백엔드, 서버, 데이터베이스 등 어려운 단어는 나오지 않았습니다. 개발자들 간의 각 역할과 연결관계에 대해서 설명을 해줍니다. 당연한 내용들이지만 전체적인 큰틀에 대해서 다시 한번 개념을 잡게 되었습니다.
이 책의 목적은 비전공자를 위한 책입니다. 더 자세히 말하자면 IT업무를 하는 주니어 혹은 IT하는 사람과 대화를 자주하는 사람들을 위한 책인 것 같습니다. 들어보았거나 앞으로 업무를 하면서 피할 수 없는 내용들에 대해서 쉽게 설명을 해줍니다.
만약 내가 주니어 개발자이거나 개발자와 자주 대화하는데 이해를 못하시는 분들에게는 도움이 많이 되실 것 같습니다. 특히 개발자 입장에서는 개발자가 되고싶은 분들에게 추천해주고 싶습니다. 처음부터 순차적으로 읽고 끝에 정리라는 부분이 있는데 전체적인 구조가 어떻게 잡혀있는지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.
마지막 챕터는 정리
이 책을 읽고 나서 이렇게 블로그에 적어보는 이유는 초보 개발자가 왕초보 개발자에게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적어봅니다. 각 파트에 대한 설명과 구조까지는 이 글에 적지 않았습니다. 읽고 조금 더 단단한 개발자가 되기를 바랍니다.